GHS란? – 화학물질 분류와 그림문자로 알아보는 안전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4-28 15:31본문
GHS 란?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로써 화할물질의 분류·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이다.
화학물질의 유해, 위험정보를 쉽게 알기 위해 동일한 분류기준에 따라 부여하는 제도로 전세계적으로 통일하여 사용되고 있다.
GHS는 크게 물리적 위험성 / 건강 유해성 / 환경 유해성 등으로 나뉜다.
물리적 위험성이란
폭발성 물질 / 인화성 가스 / 에어로졸 / 산화성 가스 / 고압가스 / 인화성 액체 / 인화성 고체 / 자기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 / 자연발화성 액체 / 자연발화성 고체 / 자기발열성 물질 및 혼합물 / 물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 산화성 액체 / 산화성 고체 / 유기과산화물 / 금속부식성 물질 등을 나타낸다.
건강 유해성에는
급성 독성 / 피부 부식성/ 피부 자극성 / 심한 눈 손상성/ 눈 자극성 호흡기 과민성, 피부 과민성 / 생식세포 변이원성 발암성 생식독성 / 특정표적장기 독성 - 1회 노출 / 특정표적장기 독성 - 반복 노출 / 흡인 유해성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환경 유해성 또는 수생환경 유해성 물질은
노출에 의해 수생생물과 수생 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를 글로 표현되어 있으면 많은 사람들이 주의 깊게 살펴보지 않는다. 그래서 한눈에 쉽게 알아 보기 위해 그림문자(symbol)로 표현한다.
대표적으로 몇가지를 살펴 보면,
이 그림은 폭발하는 폭탄(Exploding bomb) 이다.
즉, 폭발성 물질, 자기반응성 물질, 유기과산화물에 이러한 심볼이 나타나있다.
이 그림은 불꽃(Flame) 이다.
인화성 가스, 인화성 액체, 인화성 고체 즉, 인화점 보다 온도가 높으면 화원에 의해 인화될 위험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자기반응성 물질, 자연발화성 물질 등에도 이 심볼을 표현한다.
이 그림은 해골과 Ⅹ자형 뼈이다.
급성 독성을 의미하며, 급성 독성 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해 24시간 이내 수회에 걸쳐 노출되었을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 그림은 환경(Environment)을 의미하며, 수생환경 유해성을 뜻한다.
수생환경 유해성 물질은 단기간 또는 장기간 노출에 의해 물속에 사는 수생생물과 수생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위에서 나타낸 그림 이외에도 다양한 많은 그림들이 있다. 실험을 할 때나 시약등 화학물질을 다룰 때 한번씩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습관을 가지면 자신을 건강을 지키는데 많은 도움일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출처:한국소방산업기술원>